오바마.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. 하지만 콜럼비아 대학과 하버드 로스쿨을 나와 중간계급에 속하고 지금은 미국 대기업의 정치후원금으로 선거자금의 50퍼센트 이상을 채우면서 대통령에 당선한 그가, 가난한 흑인들의 삶을 얼마나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을까?
오바마는 선거운동 중 흑인 아버지들이 자식들을 돌보지 않는다는 말을 했다. 인식의 단편을 알 수 있는 말이다. 아니, 어쩌면 오바마는 미국 주류사회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립서비스를 한 것일지도 모른다.
하지만 오바마가 만약 이렇게 말했다면 나는 오바마에 열광했을 것이다.
“흑인 아버지들이 자식들을 돌볼 수 있도록 사회가 배려해야 한다. 3백 만 명의 흑인이 감옥에 있다. 이들이 더이상 감옥에 있지 않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. 흑인 중 4분의 1이 빈곤층이다. 이들이 더이상 빈곤층으로 남아있지 않도록 해야 한다.”
오바마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.
“우린 이스라엘이 왜 이런 일[팔레스타인 국경 봉쇄]을 할 수밖에 없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. … 하마스는 이스라엘의 파괴를 맹세한 테러조직입니다. 그리고 이스라엘 민간인들은 매일이다시피 그들의 폭격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 … 안보리는 분명하고 단호하게 이스라엘을 겨냥한 로켓공격을 비난해야 합니다.”(2008년 1월 22일, 오바마가 주UN 미 대사에게 전한 편지 중에서, <한겨레21>)
그가 임명한 비서실장 이매뉴얼은 시온주의자다. “이매뉴얼은 2007년 6월 팔레스타인 이슬람무장조직 하마스가 가자 지구를 장악한 것과 아랍국들의 수수방관을 비난하는 등 친이스라엘 정견을 숨김 없이 드러내고 있다.”(<한겨레> 이근영 기자)
이매뉴얼은 이라크 전쟁에도 찬성했다.
재무부 장관으로 경합을 벌이고 있는 서머스와 가이스너도 마찬가지다.
서머스는 전 하버드 총장으로 “과학과 수학 분야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못한 것은 사회적 요인 때문이 아니라 남녀 간 선천적인 차이 때문일 수도 있다”(하버드 총장 재임 시절, <한국경제>)고 발언해 사과한 적이 있고, “1970년대 서울에 미성년 매춘부의 수가 100만명에 달했다”(2005년 7월 여름학기 하버드 개강 환영식, <머니투데이>)고 말해 사과한 적이 있다.
가이스너는 리먼 브러더스를 파산하도록 내버려둔 신자유주의자다. 금융위기 대처 과정에서도 금융기관 최고 경영진들에 과도하게 의존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.
시간이 지나면 좀더 많은 자료가 나올 것이고, 오바마의 행적이 어떻게 될 지 알 수 있을 것이다.
그러나 내 눈에 한 가지는 분명해 보인다. 오바마 주변에 여지껏 서민을 위해 일했던 사람이 요직에 오르지는 않았다. 여지껏 인권을 위해 일한 사람이 보이지는 않는다. 그저 자신의 인권변호사 명함 한 장이다.
“오바마가 당선된 것은 변화다. 그리고 변화 열망을 보여 준다. 그러나 오바마는 변화를 실현하지 않을 것이다.”
《두 개의 미국》(책갈피, 2008)의 작가 조너선 닐의 말이 나에게 더 설득력있다.
“가장 중요한 일은 시위, 파업, 항의 운동 등 저항이 지속되고 더 활발해지도록 활동가들이 노력하는 것이다. 두 가지 핵심 요인이 결과를 좌우할 것이다. 하나는 전 세계에서 벌어지는 시위와 행동의 규모일 것이다. 다른 하나는 오바마를 지지했던 활동가들이 사기 저하할 것인지, 아니면 그를 넘어서고 결국에는 그를 비판하게 될 것인지 하는 선택이다.”
마르크스는 역사가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의 투쟁의 역사였다고 서술했다. 이 투쟁은 때로 은밀하게, 때로 직접적으로 벌어진다고 했다. (파업, 내전 등만 ‘계급투쟁’ 이 아니다.)
미국 피억압민들의 변화 염원이 오바마 대통령을 만들어냈다. 이것은 변화다. 그러나 그들이 여기에 만족한다면 더는 변화가 없을 것이다. 변화는 아래로부터 체계적으로 와야만 한다.
답글 남기기